집 구조를 보다보면 '베이'라는 말이 많이 나온다.
2베이 구조다, 3베이 구조다, 4베이 구조다 등등.
처음에는 나도 뭔지 몰랐는데, 집 구조를 설명하는 단어이고
집 구조에 따라서도 집값이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
간략하게나마 포스팅해보도록 하겠다.
ㅣ베이(Bay)
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.
이들 공간 중에서도 햇빛이 들어오는 공간을 가리킨다.
보통 아파트의 경우 발코니를 기준으로 2베이/3베이/4베이 등으로 나뉜다.
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도까지는 2베이 구조가 대부분이었다.
그러다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3베이/4베이 구조가 등장해서
대중화 되고 있다.
일반적으로 같은 평수일 때,
집값은 베이가 많을 수록 높아진다.
아래에는 보다 상세한 내용을 적어봤다.
ㅣ2베이(Bay)
전형적인 옛날 집 구조.
하나의 엘리베이터를 두고 2세대가 마주보고 있는
계단식 아파트에서나 볼 수 있는 구조다.
베이가 아닌 북향에 위치한 방들은 어둡고,
위에도 나와있지만 현관에서 거실이 보여서
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다.
ㅣ3베이(Bay)
햇빛이 들어오는 위치에 2개의 방이 배치되어 있어서
거실과 방의 크기는 2베이에 비해서 작고
* 그래서 발코니 확장을 많이 한다.
방이 현관을 가리고 있어서 현관이 어둡다는 단점이 있다.
ㅣ4베이(Bay)
모든 방에서 바깥 풍경을 내다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.
3베이와 마찬가지로
방이 현관을 가리고 있어서 현관이 어둡다는 단점이 있다.
그래도 2베이보다는 3베이나 4베이가 훨씬 좋은 것 같다.
여기까지 집 구조 "베이(bay)"에 대해서 알아봤다.
새로 공급되는 집들을 보면 a타입과 b타입 등이 있는데
보통 a타입이 베이가 많아서 사람들이 선호한다.
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다.
'부동산 > 기본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동산 용어] 용적률 / 재건축 재개발의 기본 of 기본 (10) | 2022.06.03 |
---|---|
[부동산 용어] 공용 면적/전용 면적/서비스 면적/계약 면적 (4) | 2022.05.26 |
[부동산 용어] 재건축 / 썩은 아파트가 새 아파트로 변신 (15) | 2022.05.25 |
[부동산 용어] 표준지 공시지가 / 개별 공시지가 / 기준시가 (7) | 2022.05.24 |
[부동산 용어] 재개발 / 노후 동네가 천지개벽 (13) | 2022.05.22 |
댓글